안면마비 환자가 알아야 하는 눈 관리 방법 2편 (ft. 안대, 안경, 고글, 테이핑, 마사지 등)

By.

min read

안녕하세요 장인닥터 조사부, 조현진 원장입니다.

기억하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지만(?) 제가 지난 주에 장인닥터 블로그를 통해 ‘안면마비 환자분들이 알아야 하는 눈 관리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지난 1편에서는 안면마비 환자분들에게 눈 관리가 중요한 이유와 눈 관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인공 눈물 사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렸는데요.

오늘 안면마비 눈 관리 방법 2편에서는 안대 착용, 보호용 안경·고글 사용, 눈 테이핑, 눈 마사지 방법 및 생활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안면마비 환우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니 정독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오늘 2편 내용은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도 자세하게 정리해두었으니 영상이 편하신 분들은 위의 영상을 시청해주시기 바랍니다.

01. 안대 착용

눈 보호를 위한 방법 첫 번째는 ‘안대 착용’입니다.

안대는 외부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습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합니다.

일반 안대도 도움이 되지만, 가능하면 ‘습윤 챔버 안대’를 사용하는 것을 권해드리고 있는데요. 습윤 챔버 안대는 안대 내부에 수분을 유지해서 눈 주변의 습도를 높여주거든요.

습윤 챔버 안대 사용이 당장 어려운 경우라면, 일반 안대 안쪽에 젖은 거즈나 면봉을 부착해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너무 젖어서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적당하게 물기를 짜서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02. 보호용 안경·고글 사용

눈 보호를 위한 방법 두 번째는 ‘보호용 안경·고글 사용’입니다.

보호용 안경·고글은 외출 시에 바람이나 먼지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실내에 있을 때 착용하실 필요는 없지만, 외부 활동 시에는 안경이나 고글을 착용하는 것이 좋고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이나 황사가 심한 날에는 꼭 착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03. 눈 테이핑 (잠들기 전)

눈 보호를 위한 방법 세 번째는 ‘눈 테이핑’입니다.

안면마비가 있는 분들 중에서는 마비측의 눈이 잘 감기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래서 마비측 눈을 뜬 채로 잠에 드는 분들이 있습니다.)

잠을 자는 동안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아서 발생하는 각막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잠들기 전에 눈 테이핑을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먼저 취침 전 인공 눈물 또는 연고를 충분히 바른 후에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이 완전히 닿도록 부드럽게 눈을 감고 그 상태에서 자극성 종이 테이프나 실크 테이프를 부착해야 합니다. (피부가 예민하신 분들은 테이프를 붙이기 전에 피부 보호제를 바르거나, 두 개의 작은 테이프를 위·아래로 붙여서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제가 작년에 동탄 한림대 성심병원 물리치료사 분들과 함께 촬영한 영상이 있고, 그 중 테이핑 가읻드에 대해 올린 영상이 있는데 자세한 테이핑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위의 영상을 참고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04. 눈 마사지

눈 보호를 위한 방법 네 번째는 ‘눈 마사지’입니다.

마비된 안륜근에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주면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근육 긴장이 완화되면서 눈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다만, 너무 강한 자극은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깨끗한 손으로 부드럽게 마사지를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05. 생활 환경 및 일상 습관 관리

안면마비 발병 후 눈 관리를 위해서는 앞서 설명드린 인공눈물, 안대, 보호용 안경·고글, 눈 테이핑, 눈 마사지 등도 중요하지만 환자분의 생활 환경 관리와 일상 습관도 정말 중요합니다.

제가 핵심적인 부분들만 정리해서 짧게 말씀을 드릴게요.

생각보다 조금 많지요?

다만, 이런 작은 일상 관리와 생활 습관들이 모여 눈 건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면마비 환자분들은 위의 내용을 꼭 숙지하고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면마비 발병 후 눈 관리
방법을 알아보고 계신 분들에게..

오늘은 지난 1편 포스팅에 이어 안면마비 환자분들의 눈 관리 방법을 자세하게 소개해드렸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들을 환자분들의 일상에서 꾸준히 실천해주신다면 눈 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씀을 드리고 싶구요.

다만, 적극적인 관리에도 불구하고 진료가 필요한 상황들이 있습니다.

심한 통증이나 출혈이 있는 경우, 시력이 갑자기 저하되는 경우, 눈에서 분비물이 많이 나오는 경우, 빛에 민감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각막 손상이나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안과 진료를 꼭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면마비 발병 초기에는 1개월마다 한 번 정도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병원에서도 몇 가지 도움을 드리고 있는데, 재생 주사를 활용해서 눈감는 속도가 빨라지고 눈이 더 잘 감기게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글과 영상을 보시고 눈을 감는 것에 불편함이 있다면 저희 병원으로 연락을 주시면 저희 병원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눈 관리는 단기간 노력으로 되는게 아니고 안면 신경 마비가 회복될 때까지 때로는 그 이후에도 계속 지속해야 되는 과정입니다.

힘들고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꾸준한 관리만이 눈 건강과 시력을 지키는 방법임을 기억해 주시고 오늘 설명드린 방법을 생활 속에서 실천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인닥터 조사부 올림.